3층연금은 국민연금(공적), 퇴직연금(직역·기업), 개인연금(사적)으로 구성된 노후자산의 표준 프레임이다. 각각의 제도는 급여 산정 방식, 세제, 운용 자유도, 위험 구조가 다르며, 생애주기 단계에 따라 기여 비중을 조정해야 장기 복리 효과와 소득대체율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본 글은 첫째, 3층의 제도적 차이를 핵심만 압축해 비교하고, 둘째, 20·30·40·50대별 목표 소득대체율과 월 납입액 산출법을 제시하며, 셋째, 디폴트옵션·TDF·ETF·채권을 활용한 현실적인 포트폴리오 설계를 안내한다. 넷째, 이직·경단기·육아휴직 등 생애 이벤트에서 흔히 발생하는 납입 단절과 수익률 저하를 방지하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인출 단계에서의 과세 최적화·현금흐름 달력·리밸런싱 원칙을 정리해 준비–운용–인출의 전 과정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하도록 돕는다.
3층연금의 본질: ‘분산된 제도’와 ‘연결된 목표’
노후준비가 어려운 이유는 길어진 기대수명과 불확실한 시장 변동성, 그리고 소득 공백의 위험이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공적연금은 평생 지급되는 종신소득이라는 강점을 갖지만, 개인의 납입 이력과 국가 제도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퇴직연금은 기업이 제공하는 제도로 적립금 규모가 크고 세제 혜택이 크지만, 사업자 선택과 본인의 운용 역량에 좌우된다. 개인연금은 운용 자유도가 가장 높아 성과를 주도할 수 있으나, 동시에 규율 부재가 실패 확률을 키울 수 있다. 그럼에도 3층을 동시에 설계해야 하는 이유는 상호보완성 때문이다. 공적연금은 장수위험을, 퇴직연금은 근속·임금상승에 따른 자본 축적을, 개인연금은 물가·시장 변동에 대한 탄력 대응을 담당한다. 즉 하나의 제도가 모든 위험을 커버하지 못하므로, 서로 다른 규칙을 가진 3개의 엔진을 병렬로 최적화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목표 역시 단편적인 “얼마 모으기”가 아니다. ‘소득대체율(은퇴 후 월평균 소득 ÷ 은퇴 직전 소득)’을 기준으로, 고정비를 커버하는 안정소득(공적·확정급여 성격)과 변동소비·여가를 위한 성장소득(시장 연동형)을 분리해 설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1) 각 층의 제도 이해, (2) 생애주기별 납입·자산배분 규칙, (3) 이벤트 발생 시 복구 프로토콜, (4) 인출기의 세후 현금흐름 설계라는 네 가지 축이 필요하다. 본문은 이 네 축을 현실적인 순서로 배치해, 누구나 당장 실행 가능한 프레임으로 제시한다.
제도 비교·납입 공식·자산배분·이벤트 대응까지: 실행 중심 3층연금 설계
1) 제도 핵심 비교: 국민연금은 소득비례·재분배 구조의 공적연금으로 종신 지급과 인플레 대응의 부분적 기능(연금액 조정)이 강점이다. 퇴직연금은 DB형(기업 책임형)·DC형(가입자 책임형)·IRP(이직·퇴직금 이전 및 개인 납입)로 구분되며, 세액공제·과세이연 혜택과 디폴트옵션을 통해 운용 자동화를 도입할 수 있다. 개인연금은 연금저축·연금보험·중개형 상품을 포함하며, 세액공제·과세이연·운용 자유도의 조합으로 장기 복리를 노린다. 2) 목표 소득대체율과 월 납입액: 기준은 생애주기별로 다르다. 20대는 소득 상승 여지가 커 목표 50~60%, 30대는 60~70%, 40대는 70% 내외, 50대는 현재 고정비를 반영해 70% 이상을 권장한다. 산출은 “부족분=목표대체율×은퇴 직전 순소득−예상 공적연금”으로 계산하고, 부족분을 퇴직·개인연금의 합으로 메운다. 예시: 은퇴 직전 순소득 500만원, 목표대체율 70%(350만원), 예상 공적연금 150만원이면 부족분 200만원을 퇴직·개인연금 합으로 설계한다. 연 3% 인플레, 실질 수익률 2~3%, 30년 수급을 가정해 역산하면 월 납입액 대략치가 도출된다. 3) 자산배분 규칙: 디폴트옵션 또는 TDF를 활용하면 연령에 따라 자동으로 주식 비중이 감소한다. 20~30대 DC/IRP는 글로벌 주식·중장기채·물가연동채·리츠·골드 ETF를 코어-새틀라이트로 구성(코어 70~80% 지수형, 새틀라이트 20~30% 인컴·대체). 40대는 주식비중을 50~60%로 낮추되, 인플레 국면에는 물가연동채·원자재 비중을 일시 확대한다. 50대는 채권·현금성 비중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변동성 완충을 위해 배당주·리츠의 분배금을 생활비 보조로 연결한다. 4) 운용 원칙: (a) 납입 자동화—월급일+1일에 IRP·연금저축 자동이체, (b) 연 2회 리밸런싱—목표 비중 대비 ±5% 밴드, (c) 수수료 최적화—저보수 ETF·TDF 우선, (d) 리스크 관리—최대낙폭(MDD) 20~25% 내에서 위험예산 배분. 5) 이벤트 대응: 이직·경단기·육아휴직 시 퇴직금은 IRP로 즉시 이전하여 과세이연을 유지하고, 납입 중단 기간에는 위험자산 비중을 소폭 낮춘다. 소득 급감기엔 연금저축 납입을 줄이는 대신 DC/IRP의 사업자 납입을 유지하도록 협의한다. 대출 상환기에는 개인연금 납입률을 일시 축소하되, 복귀 시 ‘손실 회복 납입(3~6개월간 +20%)’을 적용해 적립 곡선을 정상화한다. 6) 인출 설계: 은퇴 전 5년부터 ‘은퇴 버킷’을 구축한다—버킷1(현금·단기채 2~3년치 생활비), 버킷2(중기 인컴 5~7년치), 버킷3(성장자산 장기 보유). 인출 순서는 세후 기준으로 결정한다. 과세이연 계좌는 필요소득 범위 내에서 한도 내 분할 인출해 과표 구간 상승을 억제하고, 공적연금 개시 시점과 맞물려 총소득을 관리한다. 7) 체크리스트: 연 1회 소득대체율 점검, 수수료 총량 확인, TDF 목표연도 재검토, 디폴트옵션 적합성 평가, 수급 개시연령 조정(공적연금 연기·감액) 시뮬레이션, 배우자 계좌 분산으로 세금·위험 분담 등. 위 절차가 선순환으로 돌아가면, 3층은 각각 따로 굴러가는 장치가 아니라 하나의 ‘연금 운영체계’가 된다.
준비–운용–인출을 잇는 ‘연금 운영체계’로 완성하라
노후자산은 금액이 아니라 시스템의 강도로 평가해야 한다. 준비 단계에서는 월 납입 자동화·수수료 최적화·분산 규칙을 통해 적립의 관성을 만든다. 운용 단계에서는 생애주기와 시장 국면을 동시에 고려한 리밸런싱 규칙으로 변동성을 관리한다. 인출 단계에서는 세후 현금흐름 달력을 중심으로, 공적연금 개시 시점·퇴직연금 분할 수령·개인연금 인출 순서를 조율해 과세 구간을 평탄화한다. 핵심은 ‘한 번의 결심’이 아니라 ‘반복 가능한 절차’다. 소득대체율 목표를 수치로 고정하고, 부족분을 연 1회 재산출하며, 납입률·자산배분·인출률을 그 결과에 맞춰 소폭 수정한다. 또한 생애 이벤트가 생기면 즉시 복구 프로토콜을 가동해 납입 단절을 최소화한다. 마지막으로, 연금은 혼자보다 함께가 강하다. 부부·동반자의 계좌를 맞물려 설계하면 세액공제·과세 구간·위험 분산에서 모두 유리하다. 3층연금은 세 제도의 합이 아니라, 당신의 생애전략을 지탱하는 인프라다. 오늘의 작은 자동이체 한 건이 20~30년 뒤 ‘평온한 현금흐름’으로 돌아온다. 지금 당장, 목표·규칙·루틴을 연결하라.